React 기초 - 제로초님
Last updated
Last updated
웹에서 앱과 같은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줌
데이터 처리(싱크로나이즈)
컴포넌트 재사용
React, react-dom
컴포넌트들을 렌더링할 루트(div)가 필요
상태(state) = 바뀌는, 바뀔여지가 있는 부분
클래스 사용 시 클래스1 === 컴포넌트1
class
대신 className
For
대신 htmlFor
html과 헷갈릴 수 있어서 구분
babel 사용 <script type="text/babel">
JSX
: JS + XML
(html이 아니라 xml이기 때문에 싱글 태그도 닫는 태그를 꼭 넣어주어야함)
babel의 역할 = createElement
-> <>
컴포넌트는 대문자로 시작, 태그는 소문자
<></>
: 최상단에 들어가는 껍데기(div대신)
value
와 onChange
는 세트(or defaultValue
)
DOM에 직접 접근하고 싶을때는 ref
사용
예전 값으로 새로운 state를 만들때는 함수 사용
setState는 비동기
setState가 실행될 때 마다 render만 같이 실행됨(따라서 따로 뺄 수 있는건 빼주는게 좋음)
함수 컴포넌트 : setState나 ref를 안쓰는 경우에 썼었음
Hooks = 함수 컴포넌트 + state, ref ...
setState 분리
state가 바뀔 때 마다 함수가 다시 실행되므로 느릴 수 있음(렌더링)
setState는 비동기이기 때문에 모아서 한번에 처리됨
스크립트의 중복을 최소화 하기 위해 웹팩 등장
node.js는 자바스크립트(웹팩) 실행기
웹팩 셋팅
npm init
- npm i react react-dom
- npm i -D webpack webpack-cli
webpack.config.js
플러그인들의 모음이 프리셋
client.jsx
index.html
클래스(컴포넌트) jsx로 쪼개기
웹팩 실행
package.json - script
npx webpack
핫 리로딩 기능, 변경사항을 감지해서 반영해줌.
리로딩과는 다름(리로딩은 새로고침으로 데이터가 날아감)
추후 webpack.config.js 링크
리액트에서의 반복문
key값은 고유해야함(i는 쓰면 안됨)
React DavTools
class
사용 시 shouldComponentUpdate(nextProps, nextState, nextContext)
true면 렌더링, false면 렌더링X
렌더링 타이밍을 선택할 수 있음
class
사용 시 PureComponent
사용
hooks
사용 시 React.memo
사용
컴포넌트를 memo()
로 감싸줌
자식컴포넌트가 모두 PureConponent
or memo()
면 부모도 적용 가능
props
는 부모가 바꿔야함. 자식X
바꿔야 한다면 자식 컴포넌트에서 props
를 state
에 넣어줌
jsx
안에서는 for, if
사용 불가
삼항연산자로 작성
hooks
에서는 this
의 속성들을 Ref
로 표현
비동기함수에서 바깥쪽 변수를 참조하면 클로저 발생
useMemo
: 복잡한 함수 결과값을 기억
useCallback
: 함수 자체를 기억
함수 자체의 생성이 너무 오래 걸릴 경우 기억
useRef
: 일반 값을 기억
state
는 set하게 되면(바뀌면) 다시 렌더링
ref
는 바뀌어도 렌더링 되지 않음
ref
는 항상 ref.current
로 접근
Class
componentDidMount()
: 처음 컴포넌트 렌더가 성공적으로 실행된 직후 (비동기요청을 많이함)
componentWillUnmount()
: 컴포넌트가 제거되기 직전 (비동기요청 정리)
위 두가지가 보통 쌍으로
componentDidUpdate()
: 리렌더링 후
hooks
useEffect()
: 두번째 인자에 들어가는 값이 바뀔 때마다 함수 내용이 다시 실행됨
아무런 값도 안들어가면 맨 처음에만 실행되고 다시 실행되지 않음
useEffct
를 여러번 쓸 수도 있음
state
는 직접 변경 불가능
이벤트 발생을 통해 action
을 dispatch
해서 변경
어떻게 바꾸는지는 reducer
에 기록